원주에서 사이펀 커피 문화가 꽃 피울려나
커피는 커피의 원료가 되는 생두를 배전하여 맛과 향기를 간직한 원두로부터 추출한 것이다. 커피 성분중의 99.5%가 수분이고 그 나머지 0.5%가 고형분이다. 커피를 내리기 위해서는 원두를 분쇄한 커피 가루에 물을 주입하여 가장 효율적으로 원두에 함유되어 있는 커피의 맛 성분을 추출하고 남아있는 커피 찌꺼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거쳐야만 한다.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드립퍼(Dripper)의 종류도 다양하며 커피가루위에 물을 주입하는 요령도 드립퍼에 따라서 그 모양을 달리하고 있다.
사이펀 커피는 일본에서 발달한 커피 추출법이다. 사이펀을 이용한 바리스타 챔피언 대회가 열리고 있을 정도로 사이펀 전문 커피샵이 성업 중에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사이펀 커피 추출 도구를 갖춘 커피 전문점은 많이 있지만 샵 한쪽 구석에서 장식품 구실만을 할 뿐 에스프레소 머신이나 다른 추출 도구에 밀려 그다지 이용되지 않고 있다. 사이펀 커피는 플라스크에 물을 넣고 알코올이나 할로겐, 또는 가스로 가열하여 생긴 수증기압에 의하여 물이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로드에서 커피가루와 만나 커피가 추출되고, 가열을 중단하면 하부로 커피가 여과되는 시스템이다. 부드러운 커피의 맛과 향기는 특히 여성들에게 인기가 있다. 학교의 실험실에서 볼 수 있는 유리로 된 실험 도구와 같은 디자인에 물줄기가 올라가서 커피가 되어 내려오는 화려한 불꽃의 연출력은 처음 보는 사람들에게 탄성을 자아내게 만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웃에 있는 일본에서는 성업 중인 사이펀 커피 전문점이 대한민국에는 하나도 없다는 것이 오랫동안의 나의 궁금증으로 남아있었다. 유럽이나 미국에서 히트한 식품보다는 일본에서 잘 팔린 식품이 국내에서 인기있는 제품으로 판매되는 것을 많이 보아온 나로서는 그 문제의 해답을 찾아내고 싶었다. 국내에서 반짝 보이기만 하고 사라졌던 이면에는 유리도구로 되어 있어 다루기 불편하다는 점, 커피의 맛 보다는 눈요기꺼리에 치중해서 커피 마니아의 입맛을 사로잡는데 소홀했다는 점, 장비의 가격이 다소 비싸다는 점 등이 사이펀을 멀리하게 하지 않았을까하는 대답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원주는 다른 지역에 비하여 커피 문화의 꽃을 피울 수 있는 많은 장점을 안고 있다. 커피 전공 학생을 양성하는 학과가 대학에 개설되어 있고, 시민들에게 커피의 소양을 쌓고 창업을 할 수 있는 커피 교육 기관인 커피전문가과정이 대학 평생교육원에서 인기리에 운영되고 있으며 커피에 관한 전문적인 탐구를 할 수 있는 커피연구소가 있다. 그리고 배전기(로스터)를 갖춘 로스터리 샵 9곳이 성업 중에 있기 때문이다.
원주를 대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커피 문화, 사이펀 커피 문화가 이제 그 싹을 튀우려 한다. 이곳에서 내년쯤엔 시민들과 함께 커피를 즐길 수 있는 자그마한 ‘사이펀 바리스타 챔피언 대회’를 개최해서 전국에서 사이펀 커피 문화를 즐기고자 하는 마니아들이 반드시 원주를 찾을 수 있도록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필자의 소박한 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