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이 흐르는 강

다양한 커피 즐기기 - 아시아 태평양 편 -

닥터허 2012. 3. 29. 22:24

허경택 ( 상지영서대학교 조리음료바리스타과 교수 )

 

 

세계 최대 커피 생산국인 브라질에 이어 아시아에는 베트남과 인도네시아가 커피 생산량에 있어서 2위와 4위를 차지하고 있다.

 

1. 인도네시아

 

1696년 당시 인도네시아는 네덜란드의 식민지였다. 커피 재배를 식민지에서 하고자했던 네덜란드는 기후와 풍토가 커피 재배에 적합한 인도네시아에 커피나무를 이식하여 재배하기 시작하였다. 인도네시아는 인스턴트 커피로 주로 이용되는 로부스타를 재배하고 있지만 수마트라, 자바, 술라웨시에서는 양질의 아라비카종도 재배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특이한 풍토의 영향으로 청색의 생두가 생산되고 있는데 이를 “블루 자바 커피”라고 한다. 자바 커피는 풍부한 바디에 부드럽고, 수세법으로 가공된 생두는 산미를 띠고 있다.

자바 위쪽에 있는 수마트라는 품질이 널리 알려진 만델린 커피가 생산되고 있다. 지난 해 우리나라를 잠깐 들렀던 “스타벅스 회장, 하워드 슐쳐”도 가장 좋아하는 커피가 수마트라 커피라고 하여 이 지역의 커피 품질이 세계적으로 뛰어남을 상징적으로 보여준 셈이 되었다.

인도네시아하면 루왁커피( Luwak coffee)를 들지 않을 수 없다. 사향고양이의 배설물에서 얻은 생두를 로스팅하여 상품화한 것이다. 고양이하면 우리는 온순하고 귀여운 집고양이를 생각하기 쉽지만, 필자가 발리섬에서 본 사향고양이는 검은 털에 충혈된 눈, 카메라를 들이대면 할키려드는 야생성이 강한 고양이였다. 커피재배지역에 집단 서식하고 있는 사향고양이는 빨갛게 잘 익은 커피체리의 과육을 섭취하고, 소화되지 않은 콩은 소화기관을 지나는 동안 소화효소의 작용을 받아 적당하게 발효된다. 인간의 식탐은 무한정하여 배설물에서 분리해낸 커피생두가 독특한 풍미를 가졌다고 하여 고가로 상품화되고 있다.

 

2. 베트남

 

생산량은 세계 2위이지만 로부스타종이 주종을 이루고 있어 그에 걸 맞는 생두 생산 대국으로서의 대우를 받고 있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인스턴트 커피 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베트남에서 가장 많은 생두를 수입하고 있다. 베트남은 쓴 맛이 강하고, 향미가 좋지 않은 커피를 연유에 섞어 부드럽게 하여 마시고 있다. 더운 기후 때문에 검정 비닐 주머니에 빨대를 꽂고 아이스커피를 마시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3 .인도

16세기 바바 부단이라는 이슬람 순례자가 메카로부터 씨앗을 가져와서 마이소르에 재배한 것이 시초였으나 그 이후 인도네시아의 자바섬에서 이식해 온 커피나무가 오늘 날의 커피재배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인도하면 “몬순 말라바” 커피가 유명하다. 몬수 커피는 원래 인도에서 생산된 커피 생두를 나무 선박에 싣고 동아프리카 해안선을 따라 서쪽 해안을 거쳐 유럽에 도착하기 까지 6개월간 계절풍의 습기에 노출되어 목재와 바다의 소금기가 스며들어 독특한 커피가 만들어진 것이다. 수웨즈 운하가 개통되면서 항로가 변경되어 몬순 커피의 생산이 어렵게 되자 지금은 말라바 해안으로 옮겨 인위적으로 몬순 기간동안 생두를 노츨시켜 만든 커피를 생산하고 있다. 몬순 커피는 약간 팽창된 상태의 외형을 보이며, 산미는 감소되고 생두의 색깔은 황금빛을 띤다.

 

4. 하와이

태평양상의 하와이군도의 코나 섬에는 양질의 커피가 생산되고 있다. 서늘한 열대성의 바람과 화산 토양, 그리고 우수한 재배 기술과 철저한 품질 관리에 의하여 세계 최고의 커피가 생산되고 있다. 단맛과 신맛, 산뜻하고도 조화로운 맛이 특징이다. 그 중에서도 엑스트라 팬시가 최고 등급에 속한다.

 

5. 예멘

 

아라비아 반도의 맨 아래쪽에 위치하며,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된 야생의 커피 나무가 홍해를 건너 이곳에서 재배되었다. 모카항을 통하여 외국으로 수출되어서 오늘 날 커피에 모카라는 이름이 붙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커피는 이 나라의 주요 수입원이었기에 외국에서 커피가 재배되는 것을 염려하여 커피를 약간 뜨거운 물로 전처리하여 수출하였다. 이련 이유로 외국에서 커피가 재배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예멘 모카 마타리는 화가 “빈센트 반 고흐” 가 좋아했다고 알려진, 향미가 우수한 커피다.

 

6. 그 밖의 커피 재배지

 

필리핀, 중국, 타이, 네팔 등지에서도 커피가 재배되고 있다. 특히 네팔에서는 공정무역을 통한 커피가 수입되고 있다.